전체 글

Gyoogle (규글)
희토류 전쟁
·경제공부
2024-07-01 희토류는 경희토류와 중희토류로 나뉜다.경희토류 : 세계 각지에 분포, 채굴 난이도 낮아 공급 충분중희토류 : 매장량 적고 채굴 및 재련 난이도 매우 높음→ 특히 중희토류 중에 디스프로슘이 매우 귀함 디스프로슘은 자석 강화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음 전기차나 풍력발전에 자석의 강화를 위해 디스프로슘이 필수적으로 사용 중 현재 대부분의 중희토류는 중국과 미얀마에서 생산중 중희토류는 생산 시 환경 오염이 너무 심함 (친환경을 위해 사용하는데 환경 오염이 심한 것이 아이러니한 상황) 중국이 선점 중인 중희토류에 대안책이 나왔음. 바로 그린란드 현재 그린란드에는 중국 이상의 중희토류가 매장된 광산이 존재 그린란드 총선에서 친미 vs 친중 대결에서 친미가 당선되었음 만약 친중이 되었다면, 그린란..
육류 대체제, 배양육
·경제공부
2024-06-30 콩고기와 같은 대체육에 대해 먹어봤거나 들어봤을 것이다. 대체육은 콩 속의 단백질과 같은 식물성 재료로 고기와 비슷하게 만든 식재료다. 개인적으로는, 먹어봤을 때 질감이나 맛이 진짜 고기와는 다른게 확연히 느껴져서 선호하진 않는다. (=맛없다 웩) 콩고기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주자가 있는데, 바로 ‘배양육’이다. 배양육이란동물의 근육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해 배양 시설에서 고기로 키운 것을 말한다. 즉, 실제 동물을 도축하지 않고 세포만으로 영양 성분을 성장시켜 인공 고기를 만든 것이다. 최근 계속된 투자를 바탕으로, 실제 고기와 유사한 수준까지 도달했고 상업화를 점점 앞두고 있다. 왜 멀쩡한 고기를 놔두고 대체육과 배양육의 시장에 투자가 계속되고 진화하고 있을까? 기후 위기, 대체육 시장..
부유층의 이민, 상속세
·경제공부
2024-06-29 Millionaires on the Move: Where are the world’s wealthy migrating to and from in 2024? UAE remains world’s leading millionaiMillionaires on the Move: Where are the World’s Wealthy Migrating to and from in 2024? By Henley & Partners The Henley Private Wealth Migration Report 2024 LONDON, June 18, 2024 /PRNewswire/ — The UK is expected to see an unprecedented net loss of 9,50numeris-med..
인광석
·경제공부
2024-06-28 인 : 비료로 활용되며 농업에 중요한 물질 → 바다, 강에 들어가면 녹조현상 발생 우리나라도 인 많은지역 최상위권 : 좁은땅에서 비료로 농산물 많이 생산하는 나라 모로코 : 서사하라지역 인광석 매장량 압도적 인광석에서 추출한 인 + 산소분자 결합 = 인산염 (세계 곡물 생산량과 연관되는 매우 중요한 비료) 인광석 : 동물의 변이 오랜시간 축적되어 만들어진 광물질 → 농사에 특화된 광물 최근 배터리에서도 인을 많이 필요로 함 → 인광석을 LFP(리튬 인산철) 배터리에 활용중. 전기차 이슈 등 인광석 수요가 많아짐 중국은 자원 아끼기 위해 자국 인광석 채굴 줄이고 모로코에서 가져오는중. → 현재 추세로는 2026년부터 인산염 품귀현상 발생가능성 LFP 배터리는 비교적 저렴한 광물로 생산하..
보험사 수익 구조
·경제공부
2024-06-26 보험사의 핵심지표는 ‘사이비’ → ‘사’차익, ‘이’차익, ‘비’차익 1) 사차익 보험은 크게 ‘생존’보험과 ‘사망’보험 2가지로 나누어짐 → 고객의 사망, 입원비, 수술비 등으로부터 나오는 손익 당연히 보험을 설계할 때는, 회사가 이익을 보기 위한 구조로 만듬사망보험 : 가입 고객이 오래 살수록 이익생존보험 : 가입 고객이 오래 살수록 손해입원/수술 같은 경우, 불필요한 수술이 미용 목적 등으로 변질되면서 보험사들이 손해를 보는 경우도 있음 (설계의 중요성) 요즘 같이 오래 사는 시대에는 보험사의 사망보험 비율 > 생존보험 비율이어야 사차익에 도움이 될 것 2) 이차익 보험사가 고객의 돈을 가지고 굴려서 생기는 손익 → 매달 보험료를 고객이 납부하면 돈이 쌓임. 청구 전까지 보험사는..
달러 강세
·경제공부
2024-06-25 달러가 강세를 보일 땐 다양한 이유가 있음 1) 국내 배당금 유출 매년 4월은 달러 강세를 보이는 달 → 국내기업 배당금 유출 때문 국내 기업은 4월에 배당을 많이 하는 함 (시총 상위 20개 기업 배당급 지급 시기가 4/5 ~ 4/26 사이) 이달에 상위 20개 기업만 외국인에게 지급되는 배당금이 40억 불 (전체 기업으로는 70억 불 수준) 대부분 외국인들은 원화로 받은 배당금 바로 달러 환전 후 본국으로 송금함 → 4월에 우리는 일시적으로 달러가 귀해짐 → 환율이 튀는 현상 발생 2)중국 양적완화 통상적으로 위안화가 약세를 보이면, 원화도 따라감 23년 10월, 시진핑이 중국 국채 늘릴 것 지시 → 양적완화 위안화 많이 찍어냄 → 위안화 약세 → 원화 약세 → 달러 강세 이 밖에..
이상기후, 폭염
·경제공부
2024-06-24 무역풍 : 지구의 회전으로 동에서 서로 부는 바람 무역풍이 약해지면 : 엘니뇨 수온이 오름 (심해의 차가운 바닷물 적게 올라와서) 결과 : 옥수수 풍작, 밀 흉작 / 호주, 동남아 폭염과 가뭄 엘니뇨 오면 → 옥수수 가격 하락, 밀 가격 상승 (옥수수 가격 하락 → 바이오 연료 증가 → 유가 인하) 무역풍이 강해지면 : 라니냐 수온이 낮아짐 → 옥수수 흉작 / 호주, 동남아 폭우와 홍수 라니냐 오면 → 곡물, 전력, 알루미늄(전기요금 영향), 천연가스 가격 상승, 홍수로 광산 잠겨 광물 운송 문제 2024년 올해 여름 엘니뇨 가고 라니냐 올 확률 높음 엘니뇨 끝물 : 동남아 폭염, 냉방 수요 증가 라니냐 시작 : 북반구 추위, 난방 수요 증가 → 천연가스 수요 증가 발생 올해는 복합성..
주4일제, 저출산 대책
·경제공부
2024-06-21 #주4일제일·생활 균형위원회 정식 발촉첫논의 주제는 주4일제 도입 논의 → 장기간 근로 관행 개선에 대해 노동/경영/정부 모두 동의 일치했음하지만 How에 대한 건 미지수[기업 입장]주 근로시간은 유지하되, 유연하게 변경해야 한다.근로시간 줄어들면? 임금도 줄어야한다.[노동계 입장]유연화는 결국 장시간 노동으로 이어짐 → 노동자 건강권 침해근로시간 줄어도 임금은 유지되어야 한다.대표적 긍정케이스 : 네덜란드근무시간을 줄이고, 임금은 전일제 정규직과 동일시함 → 기업 매출, 출산율 증가 업종에 따른 적용도 필요해보임제조업은 근로시간과 생산량이 비례하는 점. 생산량이 증가하면 단가가 낮아지는 점 등주4일제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은 주제지만, 첫 시작인만큼 긍정적인 해결책들이 많이 나왔..
달파(DARPA)
·경제공부
2024-06-20 달파 : 고등 연구 계획국. 미래 선도 기술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연구함 (방위산업 목적) 우주항공 분야는 따로 분리 → 나사의 탄생 달파의 모토 : 되든 안되든 해본다. 최초. 불가능한 기술에 도전. 말도 안되는 일들을 달파는 실제로 도전해봄 이때 나온 기술 중 일상 적용 가능한 게 나오면? → 민간기업에 넘겨 기술이전 → 미국 스타트업의 시작 1) 백신 달파는 2011~2019년 핵산 백신개발 투자함(모더나 참여) → 이때 개발한게 mRNA 백신(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 이미 미국이 막대한 금액으로 백신 투자 중이라 빠르게 백신이 탄생할 수 있었음 2) 우주 프시케 소행성에 최초로 우주선 보냄. 여기 소행성에 있는 금속의 가치는 1000경 달러 수준이라고함(미국 국가부채의 30만..
삼겹살 1인분 2만원 돌파
·경제공부
2024-06-19 삼겹살 1인분 가격이 2만원을 처음으로 돌파(200g기준) 삼겹살 가격은 오르지만, 실제 돼지고기 가격은 떨어지는 중 → 결국 식당에서 인건비 등 문제로 오르는 것. 양돈농가 소득은 감소 중 영세한 국내 양돈농가 → 품종 하락 → 지표 감소 → 매츌 하락 양돈사업은 중국과 미국이 압도적 (너넨 안하는게 뭐니?) 우리나라에는 CJ가 유일하게 세계 순위권(35위) 양돈사업에 가장 치명적인 것 → 바이러스 돼지 열병 CSF와 아프리카 열병이 대표적. CSF는 백신 나왔음. 아프리카 열병은 치사율 100% 육박. 전염성도 매우 높음. → 현재 아프리카 열병 유행인 곳중에 한 곳이 북한임 우리나라도 인접국가라, 동물이나 진드기를 통해 넘어옴 최근 오물 풍선을 북한이 날리고 있음. 단순히 오물이..
Gy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