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Gyoogle (규글)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4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강의 링크 :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5526852 지금까지, 홈페이지 상에서 회원가입과 로그인 구현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금 더 효율적인 코드를 구성해보는 것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우리는 지금 jsp파일을 통해 로그인과 회원가입에서 작성한 사용자 데이터들을 받아 서버가 돌아가는 동안 DB에 저장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jsp파일 안에 구문을 통해 자바 코드를 넣고 있는데요. 이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좋은 구현 방법이 아닙니다. jsp로만 작성하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여러 import 과정을 거치..
[DCGAN 모델] 코드 리뷰
[DCGAN 모델] 코드 리뷰 DCGAN을 통한 MNIST 과정을 실제 구현한 코드로, 어떤 진행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DCGAN 모델에서 train.py와 model.py의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DCGAN github 주소 : https://github.com/yihui-he/GAN-MNIST 기존에 구성된 train.py에 우리가 원하는 model을 만들어 학습을 시켜야 하는데, train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진행과정을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합니다.또한 현재 github에 만들어진 model이 어떤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는지도 확인해보도록 합시다. 코드는 train.py와 model.py를 조금씩 쪼개서 설명이 필요할 때마다 번갈아가며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train.py 12345678..
개발자 기술면접 준비하기
·정보
개발자 기술면접 준비하기'코딩인터뷰 완전분석' 책을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준비하기기술면접을 준비할 때는 절대 문제와 답을 읽는 식으로 하지 말 것문제를 직접 푸는 훈련을 해야함 직접 문제를 풀수 있도록 노력하자포기하지말고, 최대한 힌트를 보지말고 답을 찾자코드를 종이에 적자컴퓨터를 이용하면 코드 문법 강조나, 자동완성 기능으로 도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손으로 먼저 적는 연습코드를 테스트하자기본 조건, 오류 발생 조건 등을 테스트 하자. 왜냐하면 면접에서는 이 부분이 필수이기 때문종이에 적은 코드를 그대로 컴퓨터로 옮기고 실행해보자종이로 적었을 때 실수를 많이 했을 것이다. 컴퓨터로 옮기면서 실수 목록을 적고 다음부터 저지르지 않도록 유의하자 기술면접 필수로 알아야 할 것들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코딩테스트..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TDD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TDD 강의 링크 :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5526852 강의를 이어서 진행하기에 앞서, 단위 테스트 과정에 대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우리는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중간중간에 제대로 구현이 되고 있는지 한번씩 실행해보며 확인합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깔끔하고 완벽한 코드를 만드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입니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실제 파일을 작성하기에 앞서, 테스트 파일을 통해 제대로 구현하는 지 실험해보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테스트 과정을 흔히 TDD(Test Driven Development)라고 말합니다. 즉, 코드를 작성할 때부터 설계하라는 뜻입니다. 무..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3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강의 링크 :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5526852 큰 홈페이지 틀을 만들었던 지난 시간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실제 로그인에 필요한 유저의 값들을 어떻게 저장하고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원가입 창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입에 필요한 정보는 아이디, 비밀번호, 이름, 이메일 총 4가지입니다. 이 정보를 저장할 User 클래스와 데이터베이스 클래스를 만들도록 합시다.(추후에 유지보수를 위해서 각 클래스는 다른 패키지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완성된 코드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User.java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2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강의 링크 :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5526852 수업에서 진행되는 홈페이지는, 부트스트랩으로 만들었습니다. 실제 강의에서 홈페이지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나오지 않고, 기존 틀을 만들었다는 가정하에 이어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githup에 올려주신 코드를 통해 eclipse로 가져와 수업에 필요한 부분만 커밋한 후 옮겨오는 과정을 진행하고 나서 수업을 들었습니다. 우선, 메인 페이지와 회원가입 페이지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트스트랩 코드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 혹시 코드를 보시려면 제 github에 있는 코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index.js..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 1
Servlet/JSP로 사용자 관리 시스템 구현하기 과정 링크 :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25526852 회원가입 기능 구현의 예외처리까지 진행한 과정에 대해서 한번 더 복습하는 차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포트8080에서 서버를 만들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로써 localhost:8080 주소를 통해 우리가 만들어갈 웹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bServerLauncher.java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package net.slipp; import java.io.File; import org.apache.catalina.connector.Connector;import org.apac..
모델에서 이루어지는 '딥러닝'
모델에서 이루어지는 '딥러닝' 데이터 값을 찾기 위한 과정에서, 크게 두 가지를 통해 진행된다.Linear Transform (선형 변환)Activation Function (활성화 함수) 진행과정에서 Model은 data, variable, activation이 사용되는데 3가지는 다음과 같다. data : INPUT 값 (변경할 수 없다 - uncontrollable)variable : weight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되는 값 (변경할 수 있다 - controllable)activation : 선형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에 활성화를 이용 INPUT data X가 [28,28]이라고 가정X 데이터에 Weight을 곱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를 찾는다. ( func = W * X ) [28,28] x [28..
모델에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과정(MNIST)
모델에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과정(MNIST) 하드디스크(HDD)에 방대한 데이터가 들어있다고 가정해보자.우리는 이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해 모델을 MNIST로 학습시킬 것이다..! 데이터를 가져와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데이터를 RAM으로 가져와야 한다. 하지만 RAM이 소화할 수 있는 용량은 제한적이라 한꺼번에 모두 가져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나눠서 RAM으로 가져와 학습을 진행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바로 '파이프라인'이다. HDD와 RAM 사이를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해 데이터를 RAM에 쪼개서 보내도록 한다.우리는 MNIST를 이용해 모델이 데이터를 학습해 나가는 과정을 말하고 있다. MNIST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쓴 숫자들을 이미지화 시..
[정보처리기사 실기] 요약 정리본
·정보처리기사
데이터베이스 1.데이터베이스(DB) 개념 1. 정의: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 1) 통합 데이터(Integrated Data): 검색 효율성을 위해 중보기 최소화된 데이터 2) 저장 데이터(Stored Data): 컴퓨터가 접근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3)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조직의 목적을 위해 존재가치가 확실하고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 4) 공유 데이터(Shared Data):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2. 특징 1) 실시간 접근성(Real Time Accessibility): 사용자 질의에 즉시 처리하여 응답 2) 계속적인 진화(Continuous Evolution): 삽입/수정/삭제를 통해 항상 최근의 정확한..
Gy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