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1주차 - 리액트 인트로, 간단 리액트 소스 작성 실습
React

[React] 1주차 - 리액트 인트로, 간단 리액트 소스 작성 실습

반응형



리액트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며, 페이스북에서 만들고 사용중인 오프소스 프로젝트

앵귤러와 달리, 프레임워크는 아님

프론트엔드 UI를 만드는데 사용 (MVC 중 View)

컴포넌트 형식으로 구현하여 재사용이 가능함


virtual DOM

실제 DOM에 적용되기 전에, 가상의 DOM에 먼저 적용시키고 최종 단계에 달라진 부분만 실제 DOM으로 전달해준다.

기존의 DOM은 변화가 생기면, 렌더 트리를 재생성하고 (모든 요소의 스타일이 다시 계산) 레이아웃을 만들고 페인팅을 하는 과정을 다시 처음부터 반복하게 됨

특히 SPA에서는 DOM 조작이 많이 발생하므로, 브라우저의 연산량이 늘어나고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비효율적으로 만들 수도 있기에 virtual DOM이 탄생한 것



디지털 시계를 통해 확인해보기
  1. 기존의 DOM을 활용한 디지털 시계

    <html>

    <head></head>

    <div id="root"></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setInterval( () => {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 = date.getHours()
      const min = date.getMinutes()
      const sec = date.getSeconds()

      root.innerHTML = `<h1> ${hour} : ${min} : ${sec} </h1>`

    }, 1000)

    </script>

    </html>

    html을 실행한 후, 검사 페이지에 들어가 element를 확인해보면, 변경되는 1초마다 body내에서 div와 h1 태그가 깜빡이면서 리프레시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음

  2. virtual DOM을 활용한 디지털 시계
    <html>

    <head>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6/umd/react.development.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6/umd/react-dom.development.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babel-standalone/6.26.0/babel.js"></script>

    </head>
    <div id="root"></div>


    <script type="text/babel">


    setInterval( () => {
      const date = new Date();
      const hour = date.getHours()
      const min = date.getMinutes()
      const sec = date.getSeconds()
       
      const ele = <h1>{hour} : {min} : {sec} </h1>
      ReactDOM.render(ele, root)

    }, 1000)
    </script>

    </html>

    스크립트를 통해 react, reactDOM, babel을 가져와서 사용하고 있다.

    ReactDOM.render(ele, root)을 통해 virtualDOM을 활용하여 랜더링 하는 모습

    이 html 파일을 실행한 후 똑같이 검사로 들어가 element를 확인해보면, 기존의 DOM방식과는 다르게 실제로 변경되는 초 단위만 깜빡거리며 리프레시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예시로는 큰 차이점을 못 느끼겠지만, 프로젝트가 커지고 상당히 많은 연산을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처럼 모든 부분을 다시 시작하는 것과 변경된 부분만 실행해주는 것은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리액트는 이걸 캐치해서 가상 DOM을 만들어낸 것




react 커맨드 사용하기

React와 ReactDOM 커맨드를 사용해보면서 어떤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기


ReactDOM.render(displayResult, root)

첫번째 인자 : 나타낼 결과 html

두번째 인자 : 나타낼 위치 id를 입력


React.createElememt (태그, 속성, 컨텐츠)

첫번째 인자 : html 태그 (h1, a 등)

두번째 인자 : 속성 (a태그가 오면 href 같은 것)

세번째 인자 : 나타낼 컨텐츠 (hello react!)

<html>

<head>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6/umd/react.development.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6/umd/react-dom.development.js"></script>
   
</head>

<div id="root">
   
</div>


<script type="text/javascript">

const displayResult = React.createElement(
  "h1",
  null,
  "Hello React !!"
)

ReactDOM.render(displayResult, root);
</script>

</html>

이처럼 createElement를 통해 나타내고 싶은 인자를 모두 작성하고, displayResult 변수에 저장해 ReactDOM의 첫번째 인자로 넣어준다. root로 뿌리면 <div>에 id가 root로 설정된 지점에 제대로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음



JSX 활용

JSX는 리액트에서 자바스크립트와 html을 섞어서 쓰는 걸 말함

html기능을 그대로 가져와 작성할 수 있어서 훨씬 편한 장점이 있다.

const displayResult = React.createElement(
  "h1",
  null,
  "Hello React !!"
)

기존의 이런 형태를

const displayResult = <h1>Hello react !!</h1>

이렇게 간단히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로 JSX!

html 태그가 들어가도, 새로 추가된 바벨이라는 기능이 중간에 트랜스파일링을 해주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html>

<head>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16/umd/react.development.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unpkg.com/react-dom@16/umd/react-dom.development.js"></script>
  <script crossorigin src="https://cdnjs.cloudflare.com/ajax/libs/babel-standalone/6.26.0/babel.js"></script>

</head>
<div id="root"></div>


<script type="text/babel">

const displayResult = <h1>Hello react !!</h1>

ReactDOM.render(displayResult, root)

</script>

</html>

스크립트에 바벨 라이브러리를 추가한 모습. 스크립트 타입도 자바스크립트에서 바벨로 변경되었다

바벨을 이용하면 중첩되는 복잡한 엘리먼트를 생성할 때 훨씬 유용할 것이다

const receiveName = "홍길동";
const linkUrl = "http://www.naver.com"
const firstStyle = {
  textAlign: "center"
}

const secondStyle = {
  color: "red"
}

const displayResult = <div style = {firstStyle}><a href={linkUrl} style={secondStyle}> Hello react {receiveName} </a></div>

이렇게 const로 받은 것은 { }를 사용


사용자 function 활용

function F01 (props) {
  return <h2 style={{color: props.color}}> Hello react function component {props.userName}</h2>
}

내가 만든 F01이라는 함수다. 이 함수를 태그로 활용해서 적용시킬 수 있음

const displayResult03 = <F01 userName="데미안" color="blue"></F01>
ReactDOM.render(displayResult03, root)

태그 안에 존재하는 속성들을 props로 받아 지정된다.



Class 활용

class HelloWorld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
  <div>
    <h1> hello React with Class !! </h1>
    <a style={{color: this.props.color}} > 리액트사이트연결 </a>
  </div>
  )
}
}

컴포넌트 기능을 상속받아 클래스를 생성하는 모습이다.

태그에 클래스이름을 넣어 생성이 가능해진다.

const displayResult04 = <HelloWorld color="green" linkUrl = "www.naver.com" />

ReactDOM.render(displayResult04, root)

반응형